제로 음료나 막걸리에 설탕 대신 들어가는 게 있죠. 바로 아스파탐이라는 겁니다.
그런데 이 아스파탐을 지금 WHO가 무려 발암 물질로 분류한다는 거죠.
지금 보면 제로 음료 비상, 그동안 자주 마셨는데 날벼락, 업계 소비자 대혼란이라는 등 엄청나게 보도하고 있습니다.
왠지 한 캔만 마셔도 말 그대로 암 걸릴 것 같은 공포가 느껴지기도 하죠.
그런데 진짜 그럴까요?
일단 세계보건기구 산하 기관인 국제암연구소가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2B 그룹으로 분류할 예정이라는 건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 발암물질 분류를 자세히 보면 이렇습니다.
먼저 1군은 인간에게 발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된 물질인데요.
여기에는 석면과 벤젠 같은 것도 있지만, 술과 담배 그리고 햄이나 소시지 같은 것도 있습니다.
그리고 2A 그룹은 암을 유발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들인데요.
여기에는 교대 근무나 65도 이상 뜨거운 음료나 물, 돼지, 소고기 같은 붉은 고기들도 있죠.
마지막으로 아스파탐을 넣을 2B 그룹은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발암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것들인데요.
여기에는 고사리나 알로에 베라, 피클, 아시아의 절임 채소류(김치)들도 있습니다.
이 분류에 따르면 김치도 발암물질인 거죠.
삼겹살에 소주 한잔하면서 김치까지 구워 먹었다면 1군+2A+2B 발암물질 3종 세트를 한 끼에 먹게 되는 거죠.
그런데 우리는 고작 이런 걸로 암 같은 거 걱정 안 합니다.
실제로 식약처에서도 아스파탐이 인체에 유해를 끼치려면 하루에 제로 음료 55캔, 막걸리는 33병을 먹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하루에 제로 음료 55캔 마실 수 있으신가요?
오히려 진짜 위험한 건 바로 이 설탕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설탕은 과다 섭취하면 혈당이 오르고 비만과 당뇨를 일으키는 등 위험이 완전 증명됐다”
“이렇게 확실하게 위험한 설탕보다는 대체제인 인공감미료가 건강에 더 낫다”
그러니까 제로 음료 하루 55캔 먹을 거 아니면 크게 걱정 안 해도 됩니다.
📺 출처 영상 <바로가기>